본문 바로가기

나의 음악사 - 1

2020. 8. 5.

1.
내가 국민학교를 다니던 시절엔 어린 학생이 가요를 듣고 부른다는 것은 마치 술이나 담배처럼 아이들이 하면 안 되는 것으로 여겼다.
그때는 가끔 앞에 나와서 노래를 부를 때가 있는데, 동요나 만화주제곡이 아닌 가요를 부른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그런데 내가 5학년 때, 모든것이 달라졌다.
이유는 기억 안나지만 선생님이 우리반 여자아이에게 앞에 나와서 노래를 부르라고 시켰고
그 아이는 앞에 나와서 이정석의 ‘사랑하기에’를 불렀다.

“사랑하기에 떠나야 한다는 그 말 나는 믿을 수 없어. 사랑한다면 왜 헤어져야해. 그 말 나는 믿을 수 없어..”

그러고보니 우리는 TV를 자주 보고 있었고 뭘 들어도 바로 머릿속에 쏙 들어가던 나이였기에
어지간히 유행하는 가요는 대부분 따라 부를 수 있었다.
나도 평소 음악을 듣는 나이는 아니었지만 저 노래가 누구의 노래인지, 어떻게 부르는지는 알고 있었다.
사랑한다는 것이 뭔지, 헤어지는 것이 뭔지, 연애의 개념도 몰랐지만, 새삼 저 노래의 멜로디가 너무 좋았다.
그때가 1987년이었다. 민주화운동이 한참이던 시절.

2.
나는 초량동의 비잔틴 미술학원이라는 곳을 다니고 있었다.
이곳은 국민학생이 다니는 일반적인 미술학원이 아니라 입시미술을 가르치는 학원이었고
미대를 다니는 대학생 강사에게 석고상 뎃생과 수채화를 배웠다.
시위가 한참이던 여름의 비잔틴 미술학원은 미대생이 판화로 만드는 프로파간다 찌라시를 찍는 곳이었다.
깃발을 들고 주먹을 들고 있는 학생들의 그림을 판화로 찍어내던 곳.
그리고 강사 선생님들이 점점 미술학원에 나오지 않았고 나는 혼자 나와서 혼자 그림을 그리곤했다.
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비잔틴 미술학원은 강사는 없어도 문은 항상 열려있었다.
(나오지 않게 되었던 미대 형님들은 어디론가 끌려갔던 것일까?)
그곳은 작은 카세트플레이어로 항상 이문세 3집과 4집이 항상 플레이되고 있었다.
다른 노래는 없었고 계속 이문세 노래만 들었다.
그리고 나는 이문세 노래를 다 따라부르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좋아하게 되었다.
그렇게 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좋아하게 된 가수는 이문세였다.

“이대로 떠나야만 하는가 너는 무슨 말을 했던가, 어떤 의미도 어떤 미소도 세월이 흩어가는걸..”


3.
이렇게 1과 2의 이유로 가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나만 그랬던게 아니었는지 6학년이 되었을 때는 대부분의 국민학생들이 가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아니, 사실은 원래 국민학생들도 다 가요를 듣고 있었는데 내가 몰랐다가 알게되면서 동참하게 된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이문세는 5집이 나왔고 나는 ‘붉은노을’을 흥얼거리며 국민학교를 다녔다.

1988년 말, 태어나서 처음으로 음악테이프를 사기 위해서 돈을 모으기 시작했다.
집 앞 상가의 비디오가게 한구석에서 음악테이프를 팔았는데, 매일 거기 들러서 30분씩 테이프를 고르면서 고민하며 돈을 모았다.
가요 테이프 가격은 2800원 이었는데 이문세 5집은 3500원으로 올라서 논란이 있었다.
나는 3000원을 모아서 처음으로 살 테이프를 한달도 넘게 골랐는데 후보를 추리고 또 추렸다.
내 첫 테이프 구입의 영광을 가져갈 아티스트 후보.

하나는 소방차에서 솔로로 데뷔앨범을 낸 이상원의 앨범이었다.
이상원의 탄생이라는 곡이 인기였는데 나는 그 노래를 좋아했다.

“탄생! 우리는 젊음으로, 탄생! 우리는 희망으로, 탄생! 우리는 사랑으로, 여기! 새롭게 태어났네! 이대로 영원히 영원히”

그리고 나머지 후보는 대망의 무한궤도 앨범이었다.
무한궤도는 1988년 대학가요제 대상에 빛나는 ‘그대에게’는 듣는 순간 1988년의 내 머리를 날려 버렸다.
아마 누구나 다 그랬을 것 같다. 무한궤도의 '그대에게' 키보드 전주는 정말 대단했다.
강변가요제의 담다디도 대단했지만 대학가요제의 그대에게는 충격적으로 좋았다.
그 무한궤도가 데뷔앨범이 나왔는데, 그 앨범의 트랙리스트에는 '그대에게'가 없었다.
그것이 실망스러웠지만 무한궤도는 이름도 멋지지 않은가. 무한의 궤도라니... 분명 좋은 노래가 많을 것 같았다.

이상원과 무한궤도. 나는 두 앨범을 두고 깊이 고민했으며
나는 무한궤도의 테이프를 2800원에 사서 집에 들어왔다.
내 인생의 가장 잘한 구매 하나만 꼽아야 한다면 이 선택이다.


1989년 1년 내내 나는 이 테이프 하나만 들었다. 다른 테이프 살 여력도 없었지만 무한궤도는 정말 미친듯이 좋았다.
모든 곡이 다 좋았고 대중적인 발라드부터 신나는 템포의 곡, 그리고 실험적인 곡까지 뭐하나 뺄게 없었다.

“흐르는 시간속에서 질문은 지워지지 않네. 우린 그 무엇을 찾아 이 세상에 왔을까. 그 대답을 찾기위해 우리는 홀로 걸어가네.”

무한궤도에서 신해철이 독립하고 나머지는 공일오비가 되면서 넥스트부터 윤종신, 유희열까지...
지금까지도 1989년 무한궤도에서 계보가 이어지는 아티스트의 음악을 듣고 있다.


댓글

2020. 7. 22.

내가 개인 홈페이지를 처음 만들어 본 것이 97년인가 98년인가 그랬다.

하이홈이라는 업체에 가입하여 무료로 만들 수 있는 홈페이지 하나를 만들었다.

당시엔 플래시 애니메이션이 유행이었는데 나는 책만 보고 익히기가 너무 어려웠다.

그러다가 포토샵으로 gif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법을 터득한 후에

나모웹에디터를 이용해서 마치 플래시애니메이션인 것 처럼 흉내내는 홈페이지를 만들었다.

(색이 변하는 직사각형의 타일을 gif 파일로 만들어서 표형식으로 배치하여

마우스 오버롤 기능을 넣었던 것은 지금 생각해도 정말 좋은 아이디어였다.)

이때 만든 홈페이지는 2005년에 하이홈이 경영난으로 무료서비스를 종료하고 곧 문을 닫으면서

나의 첫번째 홈페이지도 문을 닫았다.

그때 내가 썼던 글들은 다 백업을 해서 지금도 하드에 저장되어 있긴 하지만

다시보면 너무 부끄러운 내용이 많아서 나도 끝까지 읽지 못한다.

 

그리고 나는 네이버 블로그를 만들었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글을 자주 올렸다.

네이버 메인에 등록되기도 하고,  모르는 사람들과 간단하게 교류하기도 하는 등. 꽤 열심히 했다.

그러다가 도메인을 등록하고 호스팅을 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고 큰 비용이 드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2010년 나는 드디어 내 도메인을 가지고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었다.

제로보드라는 것도 설치해서 게시판도 만들어보고 내 포트폴리오를 올려서 구직에 이용하기도 했다.

블로그처럼 열심히 포스팅 할 거라 생각했지만.. 하이홈과 블로그에서 많은 글을 썼던 것과 달리 그냥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었다.

아는 사람도 없고 나도 관리를 안 하니 트래픽에 민폐를 끼치는 byte낭비도 아니고 그냥 버려진 곳이었다.

아무도 없었다.

나 역시 홈페이지를 만들고 꾸미고 내 컨텐츠를 올리고 교류하는 등의 여유가 없는 시기가 되었다.

그래도 도메인과 호스팅은 계속 연장했으며 틈틈히 내가 가장 원하던 도메인이 사용가능하게 되었는지 체크를 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계속 새로운 플랫폼을 찾았다.

네이버에 새로운 블로그도 만들어보고 기존의 블로그도 싹 바꿔보고

이글루나 텀블러에도 글을 올려보고 지금 이 티스토리에도 테스트 삼아 글과 사진을 올렸다.

여러 스킨을 적용시켜보고 편집하고, 내 홈페이지에 한 프레임으로 넣어보기도 하고.

이랬다가 저랬다가..

 

그러다가 몇 달 전에. 드디어 내가 가장 원하던 도메인을 구입할 수 있게 되어서 냉큼 구입했다.

어떤 회사가 쓰고 있던 도메인이라 내가 가져갈 수 있을거라 생각하지 못했는데 기분이 좋았다.

그 회사는 망했거나 실수로 도메인을 놓쳤던 것일까?

 

아무튼 그렇게 나는 dkm.kr 도메인을 소유하게 되었고 

그에 맞는 홈페이지를 만들고 싶었다.

이제는 모바일로 접속해도 보기 편해야 하며 관리하기 쉽게.

내 능력으로는 어렵고 불가능하지만 가능한 수준에서 만든다고 쳐도 

컨텐츠를 올리고 관리하는 것은 결국 다른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편한 선택이었다.

그래서 결국 (일단은) 2008년 쯤에 만들었다가 방치되어 있던 티스토리 블로그를 도메인과 연결하여 쓰기로 했다.

모바일에서 글이나 사진도 올리기도 쉽고, 하이홈처럼 갑자기 문 닫을 확율도 적은 곳에서.

이제는 한 곳에서 오래 이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댓글

아아 테트리스

2008. 7. 25.

난 반드시 행복해지겠다
다시는 흔들리지 않겠다
자꾸 날 흔들어놓으려는 자들은
가만두지 않겠다



찔러버릴테다.

       -요시모토바나나 [하드보일드中]


댓글